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432

엑스박스원 컨트롤러도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된다?

PC나 스마트폰, 콘솔에서 업데이트를 하는 건 익숙해졌습니다. 최근에 알게 된 사실. 엑스박스 원 패드(컨트롤러)도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된다는 사실. 알고 있었나요? 엑스박스를 사용한 지 한 참되었지만 최근에 알게 되었습니다. 엑원 패드가 블루투스 연결도 지원을 하고 내장된 제어기기를 업데이트할 수 있겠다 싶습니다만 패드를 업데이트가 하는 건 신기하게 여겨집니다. ■ 컨트롤러 펌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당연히 엑스박스 원 컨트롤러(패드)가 있어야 하고 USB 케이블이 필요합니다. 반드시 유선 연결해야 함. PC와 엑스박스 원 본체에서 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 PC는 윈도 10 한정,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앱을 다운로드하여서 설치가 가능한다고 합니다. 다만 주의할 점은 PC로 컨트롤러 업데이트를 할 경우. ..

동백전 10% 캐시백 3월말까지 연장. 아마도 코로나 때문이겠지

동백전 10% 캐시백 이벤트가 2월 말까지 예정이었지만 오늘 3월 말까지 연장한다고 알려왔습니다. 3월 말이 지나면 10%가 아닌 6% 캐시백이 됩니다. 이벤트를 연장하지 않을까 예상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에 소비가 위축된 모습이 한눈에 보입니다. 일단 거리가 눈에 띄게 한산합니다. 확진자가 증가하니 거의 모든 사람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습니다. 저는 마스크를 끼지 않았습니다. WHO에서는 마스크가 큰 효용이 없다고 하는바도 들었지만 다른 사람을 불안하게 만들지도 모르니 사용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나의 안전도 고려해야 하고. 가뜩이나 경기도가 안 좋은데, 아예 점포를 닫고 휴무 알림 내건 가게들도 보였습니다. 내가 가는 병원은 계속 휴진입니다. 지나가는 버스에는 사람들이 없습니다. 주말이라 가..

엑스박스원 업데이트 : 알림창 위치 변경하는 방법

엑스박스원이 업데이트되어 알림창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알림창이 하단 중앙에 떠서 자막을 가리는 경우가 많아 유저들의 불만이 많았습니다. 아예 꺼버리는 방법도 있지만 해결책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알림창 위치 변경하는 방법은 설정-기본 설정으로 갑니다. 알림을 선택 기본 알림 위치를 선택 초기값은 하단 중앙입니다. 보통 상단 우측이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가 적으므로 이곳으로 설정했습니다. 도전과제 달성 알림. 기존과 달리 중앙 하단이 아닌 상단 우측에 표시됩니다. 가장 마음에 드는 업데이트입니다. 그 외 여러 가지 변경내역이 있지만 가장 눈에 띄는 건. 내 게임이 변경되었습니다. 소유한 게임과 골드 보유 게임을 분리되어 볼 수 있습니다. 과거보다 많은 게임을 한눈에 볼 수 있게 되었습..

엑스박스원 게임패드는 안드로이드에 유선으로 연결할 수 없다

안드로이드 기기에 엑스박스 컨트롤러를 유선으로 연결할 수 없습니다. 유선 연결을 지원할 만도 하건만 블루투스로만 가능합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엑스박스 패드가 3세대에 해당되면 블루투스가 지원되므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후기형인 엑스박스원S 구매자는 3세대 패드를 가집니다. 저같이 초기형인 1세대와 3.5 파이 단자가 추가된 2세대 패드로는 연결이 불가능합니다. 구형 엑스박스 콘트롤러 소유자가 스마트폰에 연결하기를 원한다면 블루투스가 지원되는 신패드를 구입해야 합니다. 이럴게 될 줄 알았으면 신형 패드로 사놓는 건데요. '패드에 블루투스가 있어봤자 쓸데가 어디 있나?' 이렇게 생기네요. 엑스박스 컨트롤러를 별도로 구매하려는 사람이라면 3세대 패드를 구매하는 게 좋을 겁니다. 마이크..

모바일&IT 2020.02.23

마이크로소프트 XCloud 시범 서비스 신청. 확인해보세요

마이크로소프트의 Project xCloud 시‍범 서‍비‍스‍ 신청을 했으나 연락이 없어 실망했었습니다. 안 되었나 보다. 했는데 오늘 오전 1시발 메일로 시범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다는 안내가 왔습니다. 신청한 메일함을 확인해 보세요. 클라우드 서비스에 참여하기 위해서 당연히 스마트폰이 필요하고, 스트리밍 앱 설치, 컨트롤러가 필요합니다. 설명에는 SK 윈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하라고 안내하지만 구글 플레이에서 받아도 상관없다고 합니다. 직접 해보고 나서 소감을 올려보겠습니다.

드림캐스트 로더 개조 첫걸음! GDEMU 설치를 위한 VA1 확인 방법

알리익스프레스에 세가의 마지막 콘솔 게임기 '드림캐스트'를 검색해 봤다 GDEMU의 존재를 알게 되었습니다. 드림캐스트를 개조해 광디스크가 아닌 SD카드를 이용해 구동시킬 수 있습니다. 관심을 놓았기에 존재 조차 모르고 있었습니다. 플스 2도 하드 로더가 나왔으니 드캐에 나온다 해도 이상한 걸 없습니다. 로더로 개조를 시키면 광디스크를 이용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듣지 않아도 됩니다. 드캐가 지금 게임기만큼이나 소음이 심한 건 아니지만 디스크 읽는 소리가 상당히 거슬렸습니다. 롬 드라이브를 사용하지 않으니 렌즈 수명을 걱정할 필요도 없고, 로딩 속도도 빠릅니다. 디스크를 갈아 끼우지 않고 게임을 편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은 말할 것도 없고. 요게 바로 GDEMU입니다. 원래는 러시아의 한 능력자가 개발했는..

게임 이야기 2020.02.18

소닉매니아 : 다크소울 하던 그거네. 그 느낌이야.

세가(SEGA) 떼창. 현란한 속도의 소닉은 게임을 좋아하고 세가를 좋아했던 사람이라면 잊지 못할 겁니다. 소닉과 마리오의 행보는 달라지는데, 마리오는 세대를 거듭하면서도 변함없는 브랜드 이미지를 유지한 반면 소닉은 한 물간 가수처럼 이리저리 팔려나가는 신세처럼 보였습니다. 가끔 방송에 출연하는 것처럼 좋았을 때도 있지만 아닌 때가 더 많았습니다. 소닉 매니아는 좋았던 그 시절. 16비트 메가드라이브 그 모습을 보여줍니다. 모던 소닉처럼 어울리지 않는 모습도 아니고, 중구난방으로 이름조차 모를 이상한 애들이 튀어나오지도 않습니다. 마리오와 비교를 하지 않을 수 없는 게, 4~5명으로 시리즈를 잘 유지시키는 데 소닉은 멀 그리 많이 등장시키는지. 소닉, 테일즈, 너클즈, 닥터 에그맨 요정도 등장해서 딱 좋..

게임 이야기 2020.02.17

버려진 노트북에서 추출한 삼성 160기가 하드

분리수거장에 노트북이 버려져 있었습니다. 딱 봐도 작동이 되는 것 같지는 않았고. 램이라도 있을까? 가져갔군요. DDR2 램이라 가져가 봤자 쓸모는 없겠지만요. 무선랜카드도 있지만 10년 전 스펙이라 무쓸모. 상판을 열어서 뜯어볼까도 생각을 했는데요. 노트북 뜯는 건 일입니다. 숙련자야 그거 금방 해치우겠지만 저 같은 아마추어는 몇십 분을 낑낑대며 뜯어봤자. 쓸모 있는 게 나오지도 않고요. 분해가 재미있기는 하더라만은. 그래도 대부분은 노트북은 하드를 분리시키기가 쉽습니다. 정말 지X 같은 모델은 다 들어 내야 하지만. 뒤판에서 나사를 풀어 보호 케이스를 열고, 하드를 분리시켰습니다. 짠! 160기가. 흠. 이제 써먹기도 어려운 용량입니다. SSD가 512. SD카드도 128을 만원 대면 사는 시대에 느..

사는 이야기 2020.02.13

기어스 5 : 바꿔보니 맛 없더라. 다시 마초맛으로

엑스박스 진영의 대표작 중 하나인 기어스5. 엑스박스를 보유하고 있고 관심이 있다면 이미 해봤을 겁니다. 게임패스로 출시와 동시에 풀렸기 때문에 가입자라면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 지난작인 4편은 엑스박스와 같이 구입한 게임이었는데 다른거 할 게 많아 던져놓고 있었습니다. 게임패스로 엔딩까지 본 바람에 비닐을 뜯어 볼 일도 없게 되었습니다. 4편은 호평작을 받았던 이전작과 비교를 하면 평가가 그리 좋지는 않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시리즈 입문자가 첫 느낌은 그래픽 괜찮고, 신경을 쓴 연출 보면 돈을 팍팍 들였다는 느낌이 옵니다. 게임의 재미는 그리 높지 않았습니다. 그저 엔딩만 보자는 심정으로 했을 뿐이었습니다. 이번에도 게임패스로 기어스 5를 통해 해보니. 그래픽은 전작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사..

게임 이야기 2020.02.09

미니노트북 분해. 리튬전지(CR2032) 교체하고 날짜 저장하기

구석에 박혀있던 노트북이 리튬전지가 완전 방전되었습니다. 컴퓨터에서 리튬전지가 방전되면 어떤 일이 일어 나느냐? 아무일도 안 일어납니다. 0_0 전원을 넣고 사용하는건 문제가 없습니다. 메인보드의 설정이 저장이 되지 않기 때문에 초기화되고 무엇보다 날짜가 출고값으로 변경됩니다. 날짜가 저장이 되지 않기 때문에 아주 귀찮게 되는데, 인터넷을 해도 인증서가 유효하지 않기 때문에 사이트에 접속이 불가능해집니다. 이럴 때는 윈도우 설정으로 가 날짜를 동기화 시키면 됩니다. 늘 부팅을 할 때 마다 같은 일을 반복, 리튬전지를 갈아 주기전까지 계속 해야 된다는 것. 결국 전지를 교체를 해야 합니다. 데스트탑의 리튬전지는 교환이 간단합니다. 케이스를 열면 동그란 리튬전지가 보이기 때문에 갈아주면 됩니다. 하지만 노트..

체험기 2020.02.0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