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3432

당근 도둑 잡아라! 안드로이드 게임 버니 슈터(Bunny Shooter)

스마트폰 시대에 제2의 앵그리버드 신화를 꿈꾸는 게임이 많은데요. 이번에 소개할 버니 슈터(BUNNY SHOOTER) 역시 그런 게임입니다. 타이틀 화면. 페이스북과 트워터 연동은 스마트폰에서도 기본이죠. 스마트폰 게임에서 많이 본 구성, 당근을 훔쳐가는 토끼를 잡는게 이 게임의 목적(인듯..) 로딩화면. 화살로 잡다는 좀 잔인한데. 이런류의 게임이 다 비슷한데, 화살로 잡으면 됩니다. 토끼가 못됫게 생겼서 잡고 싶군요. 화살로만 해서 조금 단조로운 느낌이 있습니다. 각도조절을 하면 원샷 원킬이 가능한 스테이지도 존재합니다. 떨어뜨려서 잡는 스테이지도 존재. 앵그리 버드 보다는 못 한듯 싶군요. 게임구성이나 캐릭터도 그렇습니다. 무난하게 즐길 만한 게임입니다. 버니 슈터는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무료로 다운..

안드로이드 2011.09.08

스키치(Skitch)로 에버노트에서 이미지 편집이 가능. - 누가 나를 위로해 주지? 누가 나를 기록해 주지?

에버노트(evernote)가 맥용 이미지 편집 어플리케이션인 스키치(Skitch)를 인수했습니다. 인수함과 동시에 유로로 판매하던 스키치를 무료로 전환했습니다. 안드로이드 마켓에서도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이미지 편집 어플리케이션이 그렇듯 사진을 찍은 다음 편집할 수 있고, 기존의 사진을 선택한 뒤 편지할 수 있습니다. 기본구성, 편집 프로그램 만져본 사람이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저도 편집 프로그램을 많이 사용을 안했는데 크게 어려울 것은 없습니다. 한 번씩 만져 보면 됩니다. 원하는 대로 그릴 수 있습니다. 손가락으로만 할려니 힘들군요. 역시 이럴 때는 스타일러스가 있어야 됩니다.삼성이 갤럭시 노트를 발표하면서 스타일러스를 기본으로 탑재합니다. 사용용도가 다르면 다른 도구가 필요한 법이..

안드로이드 2011.09.08

인텔과 마이크로소프트. 그들은 어떻게 제국이 되었나?

기술력의 일본이 사업에 실패하는 이유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자랑하던 일본 기업들이 하나 둘씩 1등의 자리를 잃어 가고 있습니다. 기술력이 최고 인데 왜 시장 점유율은 떨어지나? 이 질문은 일본 반도체 패전이라는 책과 비슷합니다. 기술력은 세계 최고 수준인데 시장 점유율로 연결이 되지 않는다. 이게 일본의 관심인가 봅니다. 저자인 세네오 겐이치로는 원인 파악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주장합니다. 이 것도 일본 반도체 패전의 저자의 주장과 비슷하네요. 1만여개의 특허를 보유한 일본 반도체 산업은 고작 320개의 특허를 가진 인텔을 이길 수 없을까? 일본은 기술력이 있음에도 사업에서 실패했다. 왜 그럴까? 기술에서 이겨도 사업에서 실패한다. 기술에서 이기고 지적재산권도 얻어도 사업에서 실패한다. 기술에서 이기고 ..

생각나누기 2011.09.06

모토로라 드로이드 바이오닉 월페이퍼 - 배경화면 무엇을 쓰시나요?

모토로라의 드로이드 바이오닉 월페이퍼 입니다. 모토로라는 드로이드3도 출시했는데 한국에서는 발매할 생각이 없는것인지? 모토퀴티 라는 이름으로 바뀌서 나왔지만 큰 인기를 끌지는 못했죠. 인기를 끈 것은 버스로 풀려서였죠. 모토운수. 버스폰을 사랑하는 사람인 저로써는 모토로라를 응원합니다. ^-^; 개인적으로는 모토로라의 디자인을 좋아합니다. 공돌이 스러운 디자인. 유행하는 둥글둥글한 디자인은 질리고요. 아래가 드로이드 바이오닉의 월페이퍼 입니다. http://www.mediafire.com/?rv1931klj1eoh3j 배경화면 하기 괜찮네요.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올라왔습니다. 올려도 되는 것인가? https://market.android.com/details?id=com.p3droid.bionic 안드로..

안드로이드 2011.09.05

애드센스 최적화 제안 메시지를 받다. - 돈 이라는 괴물

블로그를 한다면 하나 씩 애드센스를 달고 있겠죠. 큰 돈은 아니지만 커피값 정도 나와서 달아놓고 있는데요. 어떤 사람들은 광고를 달아 놓으면 가독성을 헤치고 상업적으로 보여서 싫어하더군요. 블로그에 너무 많은 광고를 달아 놓으면 눈쌀을 찌뿌르겠지만 적당한 수익은 도움이 됩니다. 경제적인 이득이 있다면 조금 더 의욕이 생기겠죠. ( 그래봐야 소액이지만...) 각설하고 진짜 적을려는 내용은 다음입니다. 애드센스 팀에서 메시지를 보내왔습니다. 그 동안 메세지는 전체메세지 였는데 이번에는 저에게만 해당되는 내용이었습니다. 내용은 이렇습니다. 120+600 애드센스를 160*600으로 전환하면 ecpm이 더 늘어날 수 있다고 권유하는 메일이었습니다. 구글의 특성상 수작업으로 하지는 않을 테고 알고리즘에서 그렇게 ..

안드로이드 횡스크롤 액션 게임 써드 블레이드(Third Blade)

아이폰에서 인기를 끌었다던 써드 블레이드가 안드로이드로 나왔습니다. 나왔다고 해서 다운을 받아 볼려고 하는데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검색을 아무리 해도 찿아지지가 않더군요. market enabler를 적용을 해도 검색이 안되는데 저만 그런건지 모르겠군요. 추천화면에 나와서 다운을 받을 수 있었는데 안드로이드 마켓의 검색은 엉망입니다. 다른건 몰라도 정확하게 단어를 입력하면 어플이나 게임 좀 찿아졌으면 좋겠습니다. -_-; 이건 좀 너무하다 싶습니다. 타이틀 화면 인트로 날려버려서 무슨 내용인지는 확인을 안해봤습니다. 뭐 뻔하겠죠. ^-^; 이런류의 게임에서 항상 나오는 지도. 로딩 시간이 좀 걸립니다. 사양이 좋으면 더 빠를지도. 플스, 새턴 시절에는 로딩이 한참 걸렸는데 좌측 상단의 무기 아이콘을 선택하..

안드로이드 2011.09.03

추석맞이 앵그리버드 시즌 업데이트 ( Angry Birds Seasons: Moon Festival!)

돌아가면서 업데이트 하는 앵그리버드 업데이트가 이번에는 시즌입니다. 특정일을 기념해서 업데이트 하는 것은 여전한데 이번에는 중국의 중추절입니다. 추석의 다른말이 중추절[仲秋節] 이라는 건 처음 알았습니다. 추석이 멀지 않았군요. 이번 추석은 너무 빠르네요. 앵그리버든 시즌 업데이트는 특정일날 변하는 구글로고와 비슷합니다. 앞으로도 기념할 거리는 많으니 써 먹을 것은 많겠죠. 중국에서는 추석날에는 달 모양의 월병(月餠)을 만들어 조상에게 바치고 달을 감상하며 시를 짓는다. 중국속담에 ‘매봉중추(每逢中秋) 배사월병(倍思月餠)’이라 하여 매번 중추날에는 더욱 월병 생각이 난다는 것이다. 우리의 반달 모양 송편과 달리 보름달 모양의 월병은 이미 원(元)나라 때 만들어졌는데, 월병으로 시식을 삼고 또한 달을 감상..

안드로이드 2011.09.02

갤럭시탭 7.7, 갤럭시 노트 발표를 보고서. 역시 하드웨어의 삼성이다.

삼성이 IFA 2011에서 신제품을 대거 발표했습니다. 전체적인 소감은 역시 하드웨의 삼성이다 싶습니다. 자신의 강점이 뭔지 확실하게 알고 있네요. 먼저 갤럭시탭 7.7 입니다. 1.4GHz 듀얼코어, 16/32/64GB 내장메모리, 외장메모리 지원,블루투스 3.0, 와이파이 a/b/g/n 등 크기/무게 196.7×133×7.89 mm, 3G : 335g / WiFi : 333g 네트워크 LTE / HSPA+ 21Mbps 디스플레이 WXGA 7.7형(7.67") 슈퍼 아몰레드 플러스 플랫폼 안드로이드 3.2(허니콤) 카메라 후면 300만 전면 200만 배터리 5100 mAh , 와이파이 채널 본딩, 사진은 삼성투말로우에서 다 긁어왔습니다. 자사 제품 홍보하는 셈인데 긁어왔다고 뭐라고 하지는 않겠죠.ㅡㅡ ..

안드로이드 2011.09.01

일본 반도체 패전 - 최고의 기술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몰락하다.

왜 일본 반도체 업계는 쇠퇴했는가? 일본 반동체 패전이라는 책은 히타치 제작사에서 16년동안 근무를 한 유노가미 다카시가 일본 반도체의 쇠퇴원인을 분석한 책입니다. 일본은 부동산 거품을 격은 이후로 잃어버린 10년으로 대표되는 장기불황을 겪게 됩니다. 일본의 쇠퇴와 함께 세계를 제패하던 일본 반도체 업계 역시 쇠락하게 됩니다. 한 때 시장 점유율 80퍼센트를 넘기던 DRAM은 엘피다 메모리만 남기고 모두 철수하고 말았습니다. 저자는 의문을 가집니다. 세계를 제패하던 일본반도체 산업은 왜 쇠락을 했는가? 기술력이 떨어져서? 연구개발을 게을리 해서? 일본 반도체 업계 관계자들은 예나 지금이나 일본은 기술력에서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다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저자 역시 기술자 였을 때는 기술에서는 지지 않는..

책리뷰 2011.09.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