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XBOX 5

XBOX 360 슬림용. 호환 하드디스크 케이스

엑스박스 360용 어댑터와 같이 배송된 하드디스크 케이스입니다. PC의 외장 하드 케이스 같은 건 아니고. 이 케이스를 사용해서 엑스박스 내부에 하드 디스크를 삽입합니다. 교체가 가능한 구조이지만 일반 소비자가 교체를 하도록 만든 건 아닌 듯합니다. 마소가 케이스를 공식적으로 판매를 하지도 않았고요.  정품(?) 하드 케이스는 분리시키는 데도 꽤 어려움이 있는 듯했습니다. 커펌에 데어서인가 마소는 내부구조를 가능한 복잡하게 만드려 하는 느낌을 받습니다. 유튜브 영상에서도 엑스박스 360 하드를 교체하려면 호환 케이스를 구하는 게 쉽다고 하더군요.플라스틱 내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박스라고 되어 있습니다. INTERNAL HARD DRIVE 라고적혀 있습니다. 중앙에 있는 버튼은 하드를 교체할 때 분리시키..

사용후기 2024.07.19

버전별로 규격이 다른 엑스박스. 360 슬림 어댑터 구매

엑스박스 360 슬림용 어댑터를 구매했습니다. 360의 공식지원이 끝났지 오래되고 해서 호환 어댑터만 구할 수 있습니다. 엑스박스 360의 이해할 수 없는 점은 어댑터 규격입니다. 플스처럼 일관된 규격이 아니라 버전별로 어댑터가 다릅니다. 초기형부터 시작해서 후기형 까지 어댑터가 모두 다릅니다.  재고관리도 힘들 텐데. 마이크로소프트는 왜 이렇게 난잡하게 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지난 세대의 커펌의 기억 때문인가? 당최 이유를 모르겠네요.  어댑터 외양은 엑스박스 원과 비슷합니다. 규격이 맞지 않아서 엑스박스원과 360의 호환은 되지 않습니다. 중구난방이던 규격은 엑스박스 시리즈 엑스에서 와서는 내장 어댑터가 되고 공용인 8구 형태로 바뀌어서 호환이 좋아졌습니다. 저작권 때문인지 엑스박스라고 표기하지 않..

사용후기 2024.07.15

다음과 마이크로소프트가 함께하는 IE 9 다운로드 이벤트

다음에서 뉴스를 보던 중, IE9로 업그레이드 하면 선물준다는 광고가 나오길래 클릭을 해보았습니다. 광고는 경품 준다는 광고가 최고입니다. 경품, 공짜는 사람들을 혹하게 만들어서 눌러 볼 수 밖에 없게 만듭니다. 블로그에 달고 있는 애드센스도 경품준다는 하면 클릭율이 높지 않을까 추측을 해봅니다. 광고를 집행해도 호기심을 갖게 만들어야겠죠. 광고만 한다고 해서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게 아니니까요. 다음과 마이크로소프트가 IE9 업그레이드 이벤트를 하고 있습니다. 다음 페이지로 가면 아래와 같은 이벤트 화면이 나옵니다. http://bbs.promoevent.daum.net/gaia/event/microsoft_20120130/index.html# 웹브라우저인 IE9 을 다운로드 하고( XP 사용자는 IE8..

이벤트 2012.02.28

윈도우폰7 XBOX LIVE

마이크로 소프트가 윈도우폰7의 출시타이틀을 발표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60개의 타이틀을 Xbox Live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제공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출시예정 타이틀은 아래와 같습니다. 역시나 헤일로 포함이네요. "3D Brick Breaker Revolution" (Digital Chocolate) "Age of Zombies" (Halfbrick) "Armor Valley" (Protégé Games) "Asphalt 5" (Gameloft) "Assassins Creed" (Gameloft) "Bejeweled™ LIVE" (PopCap) "Bloons TD" (Digital Goldfish) "Brain Challenge" (Gameloft) "Bubble Town 2" (i-Play) "B..

게임 이야기 2010.08.18

또 한번 시대를 선도하는 닌텐도 3DS

E3쇼에서 발표된 닌텐도 3DS 정보를 보았습니다. 정보가 미리 알려져서 놀랍지는 않았는데 '역시 닌텐도' 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키넥트를 발표하고 소니는 무브를 선보이면서 닌텐도를 추격하나 싶었는데 다시 벌려놓네요. 닌텐도는 시장의 선도자일뿐만 아니라 방향까지 제시를 합니다. 소니와 마이크로소프트에게서는 받을 수 없는 느낌이죠. 이 둘은 닌텐도 따라가기 바쁘죠. 3DS의 최대관심은 역시 3D입체영상 입니다. 무안경이라는게 가장 큰 특징입니다. 정면에서 입체로 보인다고 합니다. 영상으로 확인을 할 수 없다는 점이 아쉽네요. 3D입체 방식은 해상도를 반으로 나누고 좌우로 이미지를 보내서 입체영상을 만든다고 합니다. 과거 패미컴 시절의 소프트가 3D화 ..

게임 이야기 2010.06.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