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스 5 탈옥 소식이 있습니다. 벌써?라고 생각했는데. 플스 5 출시 연도가 2020년이니 5년 차. 그렇다면 뚫린 만도 하네. 커펌이나 탈옥 초기처럼 아주 제한된 상황만 가능한 상태입니다. Lua라고 알려진 이 방법은 저장파일을 통해서 탈옥을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펌웨어 버전은 3.0부터 7.61까지 가능
예전 PSP 커펌처럼 디스크 타이틀이 있어야 합니다. 취약점을 공략한 것처럼 모든 게임 타이틀이 가능한 게 아니고 특정 게임만 가능합니다. 아래가 게임 리스트입니다.
Raspberry Cube | CUSA16074 | |
Aibeya | CUSA17068 | |
Hamidashi Creative | CUSA27389 | |
Hamidashi Creative Demo | CUSA27390 | Requires latest firmware to download from PSN |
Aikagi Kimi to Issho ni Pack | CUSA16229 | |
Aikagi 2 | CUSA19556 | |
IxSHE Tell | CUSA17112 | |
Nora Princess and Stray Cat Heart HD | CUSA13303 | Requires manual loading of savegame (rename save9999.dat to nora_01.dat) |
들어보지도 못한 생소한 게임인데요. 미소녀 게임류로 보입니다. 😓 국내에서도 정발을 하지 않은 것 같은데. 굳이 시도를 해본다면 직구를 해서 얻어야겠군요.
그다음 과정은 굉장히 쉬운데. 게임 저장 파일을 수정하고. 게임을 실행하면서 수정된 백업 파일을 읽어 들이면서 커널 익스플로릿으로 공격하는 방식입니다. etaHEN을 설치하면 플스 4의 GoldHEN과 비슷해 보이군요.
역시나 커펌이 아닌 탈옥이기 때문에 리부팅을 하게 되면 탈옥이 사라지는 건 골드헨과 동일합니다. 다만 디스크 타이틀만 있다면 탈옥이 굉장히 간편하기 때문에 ( 불과 몇 초만에 탈옥 성공이 됨) 아주 불편한 것 같지는 않습니다.
소니의 보안은 어떻길래. 이렇게 쉽게 뚫릴까요? 그게 아니면 사용자가 많으니 관심이 있는 사람도 많을 테고, 공격을 시도하는 사람도 많을 겁니다. 윈도도 보안 취약점이 늘 발생하는데. PC와 비슷한 구조인 콘솔에서도 비슷하겠죠. 감안해도 쉽게 뚫리는 건 많은 듯합니다. 그래도 예전 PS1, PS2 시절에는 납땜질이라도 해야 했는데. 이제는 파일 몇 개 넣어주고 딸깍!으로 끝을 내버리니. ( 그런 플스 2도 딸깍으로 다 되기는 합니다.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으로 인해서 말이죠.🙄)
플스와 대조적으로 엑스박스는 탈옥 소식이 없습니다. 최근에 엑스박스 360에서 USB를 활용한 우회 방법이 드디어 나왔습니다. 출시 몇 연차인데. 아직도 뚫리지 않았다는 사실이 놀랐습니다. 물론 하드웨어적으로 뚫는 방법은 나왔습니다. 소프트만으로 가능성을 보인데 이번 연도입니다. 엑스박스원은 아직도 소식이 없고. 시리즈 엑스와 에스는 마찬가지고요.
마이크로소프트가 소니보다 보안이 더 높을 수도 있고, 아니면 사람들의 관심이 덜 해서 공격 시도가 낮을 수 있습니다. 아는 사람은 알겠지만 이번 세대 엑스박스는 사실상 실패로 끝이 나는 분위기이니까요. 국내에서는 엑스박스 콘솔을 공식적으로 구할 수가 없는 단계입니다. 사람들은 사실상 국내에서 철수를 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뭐. 팔리지 않으니 당연한 결정이겠죠. 하아. 이럴 줄 알았다면 엑스박스 사는 거 아니었는데. 😕 뚫어서 나중에 윈도나 설치가 되었으면 좋겠는데.
그렇지만 플스에서 커펌이 써지는 단계는 아니라. 보안이 완전히 무너졌다고 볼 수는 없겠죠. 모드나 탈옥에 관해서 흥미로운 소식이 많아서 재미있습니다.
'중얼거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음 세대 엑스박스는 PC가 된다? (0) | 2025.05.21 |
---|---|
투자 재진입 시점을 고민 중 🙄 (0) | 2025.05.15 |
게임 패드 아날로그 스틱 제거를 위한 도구가 존재하는군요. (0) | 2025.05.09 |